농사일기

백초효소

이천기 2010. 12. 2. 15:40

효소酵素enzyme란

효소는 생명체의 몸속에서 생명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물질로 몸속에서 일어나는 모든 생화학 반응을 원활하게

수행하는 촉매 작용을 지닌 '특수한단백질'의 총칭이다. 이 효소의 작용 없이는 어떤 인체활성도 일어나지 않는다.

움직일 수도 없고, 보고 듣고 말하지도 못하고, 먹지도 못하고, 먹은 음식을 소화 할 수조차 없다. 생명이 있는

모든 생물은 효소가 삶의 활동 근원 역할을 해주는 덕택에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우리 인체는 몸에서 스스로 합성하여 만들어 내는 잠재효소(소화효소,대사효소)와 외부의 음식물로부터 공급되는

먹거리 효소로 생명활동을 진행해 가고 있다. 그러나 이 잠재효소는 무한정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무절제한

먹거리의 섭취와 잘못된 생활 습관,스트레스와 환경오염으로 인한 과다한 잼재효소의 소비는 효소의 고갈을 야기

시켜 질병과 노화 등 수명 단축으로 이어진다. 절제된 생활습관으로 잠재효소의 과다한 사용을 줄이고 풍부한

먹거리 효소를 섭취할 때 우리는 질병 없이 건강하게 이 시대를 살아 갈수 있다.

 

효소의 작용

*소화,흡수작용

  음식물이 입으로 들어가면 침에서부터 위장, 소장을 거치면서 여러 종류의 효소가 각종 영양소를 분해하여 세포의

 영양분 및 장기의 에너지 로 흡수시킨다.

*분해,배출작용

  질병이나 염증 부위의 오물이나 세포에 쌓인 공해물질, 각종 노폐물을 분해하여 땀이나 소변을 통하여 몸 밖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항염,항균작용

  염증이 생기면 백혈구 운반과 그 활동을 도와 상처 입은 세포의 치유력을 높여주어 염증을 없앤다.

*해독,살균작용

  효소는 간기능을 강화시켜 외부로부터 들어온 독소를 분해하고 해독시킬 뿐만 아니라 화농균에 대하여 항생제

  이상의 강력한 살균력을 발휘한다.

*혈액 정화작용

  혈액속의 독소와 이물질 및 노폐물을 분해하고 배설시켜 혈액을 맑게하며 지방을 조절하여 혈액순환이 잘 되도록

 도와준다.

*세포 부활작용

  세포의 대사 기능을 활성화 시켜 낡은 세포와 새로운 세포를 신속히 교체시킨다.

 

효소 결핍에 따르는 증상

- 식후의 식곤증,트림,빈번한 방귀

- 복부 팽만감, 복부 경련

-위통, 위의 답답함. 구토기, 위의 불쾌감

-설사, 변비, 대변의 악취

-먹거리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가슴의 답답함, 흉통

-어지럼증, 피부의 거칠음

-생리통, 생리불순

-어깨통증, 두통, 불면증, 피로감, 치질

 

백초효소 만드는법

*** 양력 3월부터 11월 사이에 산과 들에서 자생하는 초목들의 잎, 줄기, 꽃, 뿌리, 껍질,열매 등을 180가지 이상 채취하여 발효후 2~3년간 숙성한것을 말한다. 삼투압의 원리를 이용해 식물체의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발효 시켰으므로 각각의 식물이 가지고 있는 효소는 물론 영양소(엽록소,미네랄,비타민,약성)가 풍부하게 함유되어있다. 이 효소는 독성이 없는 자연식품이기 때문에 사용처나 사용량에 구애를 받지 않는다. 효소는 위에 부담을 주지 않고 소장에서 곧바로 흡수되며 위와 장 기능에 도움이 되고 약리작용에 있어서도 부작용이 거의 없다. 그러므로 투병생활을 하는 환자나 허약자에게도 백초효소가 좋은 보조식품이된다.

 

백초효소 음용법

*효소(소주잔한잔)에 생수(40도씨이하)을 5~10배 희석해서 1일 2~3회 공복에 음용한다. 장기 복용을 하는것이 좋다.

    (효소는 45도씨 이상에서 파괴되므로 뜨거운물에 희석하는것은 피한다 )

*과식, 소화불량, 피로할때에는 원액을 소주잔한잔정도 마셔도 도움이된다.

 

 

백초효소에 들어가는 잎줄기, 꽃, 열매,뿌리류 (190종류 이상 함유)

쑥,참소리쟁이,민들레,돌나물,돌미나리 ,개옥잠화,옥잠화,찔레순,백지,봄자원(망초),머위,두릅,저독활(땅두릅),바위취, 방가지동(반고쟁이),긴병꽃풀, 꽃마리(박조가리),곱습배추(문둥이풀),컴프리, 고사리밥,참취,들엉겅퀴,개갓냉이(황새냉이),냉이,개냉이,강아지풀,토끼풀,제비꽃,쇠뜨기(토풀),명아조, 샐러리,이미풀(오이풀),꽈리, 오가피,구기자,주목잎,조릿대,남천,솔잎(순.솔방울),잣순,뽕잎,오디, 감잎, 목련(순.꽃.열매),밤,감,매실,도토리,개복숭아,대추,앵두,보리수열매,오미자,돌배,귤피,모과,생강나무순,아카시아꽃,장미꽃,홑잎,계피,초피순(재피),산초잎(열매),치자,감초,느릅나무(뿌리),익모초,질경이,소송나물,금전초(말발굽풀),비단풀,상추,아욱,참비름,개비름,쇠비름,칡순(꽃),차조기,도라지, 더덕,까마중,부추,삼부추,대파,미역취,도꼬마리(끈끈이),토란,마디풀,떡쑥,맨드라미,향유(박하),방아,메꽃,산나리,뱀딸기,이질풀,참나물,고구마,치커리,고수,생강(잎.부리),케일,신선초(속성엽),선인장,야생국화,금국,삼동초,야생콩,진황정(둥글레),양파,노각,당근,마늘 토마토,가지,무우,야생팥,고추,갓,황기,달래, 호박잎(열매),두충,인동넝쿨(금은화),고사리,마,상황버섯,표고버섯,원추리,박,수세미,쪽파,씀바귀,수삼,홍삼,피마자,은행(잎.열매),녹차잎,연(전초),피자두,천일홍꽃,대나무잎,참싸리나무순,참나무순(꽃),들깨,진달래꽃,벚꽃,홍엽우산,잔대,밀나물,결명자,당귀,구절초,인진쑥,유자,천궁,물냉이,두충,산딸기순,옻순,시지,위령선,음양곽,복령,죽순,백출,오디,고심,야콘,환삼넝쿨,마디풀,방동사니,닭의장풀,꼭두서니,약모밀(어성초),달맞이꽃(씨),우엉(전초),우슬이(쇠무릎),고들빼기,쥐똥나무순,겨우살이,동아,띠풀.망개잎,울금,등